Surprise Me!

[김형준의 대선 빅데이터] 북한 변수 대선에도 영향?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0 Dailymotion

■ 김형준 / 명지대 인문교양학부(정치학) 교수, 배종찬 /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<br /><br />[앵커]<br />김정남 피살 사건이 발생했고 북한의 정세가 매우 불안해 보입니다. 대선 정국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. 과거의 대선들이 있었던 주요 사건들 그 사례를 통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김형준의 대선 빅데이터 김형준 명지대 교수 그리고 여론조사 전문가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몇 년도부터 분석을 하셨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87년도 13대 대선 때부터인데요. 대통령 대선 선거의 역사는 북풍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매 선거 때마다 북한 변수가 대선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부각이 됐었거든요. 그것이 여러 차원에서 영향을 미쳤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이 도발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 정상회담도 있었고 또는 그것이 안보 위기 능력과 관련돼서 혼재돼서 나타나는데요. 6번에 걸친 선거에서 매 선거 때마다 북한 변수가 작동됐다는 걸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러면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부터 먼저 가보겠습니다. 당시 선거는 아시는 대로 1노 3김이 맞붙었던 대선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일단 1노 3김이었고 노태우 후보와 김종필 후보가 보수이고 YS, DJ가 진보 진영 아니었습니까? 그런데 실질적으로 선거를 18일 남겨놓은 시점이었었는데 87년 11월 29일에 바그다드 항공에서 대한항공이 폭파되는 사건이 발생되지 않았었습니까?<br /><br />그러니까 김현희가 북한의 지령을 받아서 폭파한 사건인데요. 이것이 가장 큰 이슈로 부각이 됐었고요. 결국 KAL기 폭파사건은 대통령 선거 막판에 지지도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. 큰 틀 속에서 보면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큰 변화가 없을 것 같지만 시기적으로 보면 저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우리가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때 그러면 여론조사 데이터를 보시죠. [인터뷰] 저 부분을 보면 13대 대선 후보를 보면 KAL 폭파가 있기 전까지만 해도 김영삼 후보가 아주 가파르게 올라갔었습니다. 8%포인트 상승하면서 거의 노태우 후보와 박빙으로 가고 있었던 시점이 바로 11월 29일이었는데요.<br /><br />KAL기 폭파 사건 이후로 올라갔었던 지지율이 더 이상 치고 올라가지 못하면서 답보 상태로 갈 수밖에 없었던 그러면서 결국은 36. 6%의 아주 낮은 득표율로 노태우 후보가 승리를 하게 되는데요.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21715104019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